한글에서 사용하는 문장 부호
문장 부호는 문장 간의 관계나 문장 내의 논리 구조를 명시해 정확한 의미 전달에 필요한 부호입니다.
본 글은 2017에 고시된 한글 맞춤법 일부 개정안의 문장 부호들을 소개한 문장 부호 해설을 참고 하였습니다.
문장 부호 표
의미 | 사용 예제 | |
---|---|---|
1. 마침표(.) | 서술, 명령,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의 끝에 사용 |
제 손을 꼭 잡으세요. |
2. 물음표(?) |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사용 |
점심 먹었어? |
3. 느낌표(!) |
감탄문이나 감탄사 끝에 사용
|
아하! |
4. 쉼표(,) |
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사용
|
서울, 대전, 대구 |
5. 가운뎃점(ㆍ) |
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사용할 때 사용
|
지금의 경상남도ㆍ경상북도ㆍ전라남도ㆍ전라북도ㆍ충청북도ㆍ충청남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. |
6. 쌍점(:) | 항목을 열거하거나 설명을 붙일 때 사용 | 일시: 2020년 1월 1일 |
7. 빗금(/) | 대비되는 두개의 어구를 묶을때 사용 | 남반구/북반구 |
8. 큰따옴표(“ ”) | 글 가운데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사용 | “어머니, 제가 가겠어요” |
9. 작은따옴표(‘ ’) |
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사용
|
“여러분! ‘시작이 반이다'라는 말을 들어 보셨죠?” |
10. 소괄호(( )) |
주석이나 보충적인 말을 덧붙일 때 사용
|
니체(독일의 철학자)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. |
11. 중괄호({ }) |
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.
|
주격 조사 {이 가}{이 가} |
12. 대괄호([ ]) |
음표 안의 말이 바깥 음이 다를 때에 씀. 음성학에서 음성(발음)을 표기할때 사용, 동음이의어를 구분하기 위해 뜻풀이를 넣는 용도로 사용
|
나이〔年歲〕 낱말〔單語〕 手足〔손발〕 |
13. 겹낫표(『 』)와 겹화살괄호(≪ ≫) |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을 나타냄 | 『훈민정음』 |
14. 홑낫표(「 」)와 홑화살괄호(< >) |
소제목, 그림이나 노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, 상호, 법률 규정등을 나타낼 때 쓰임
|
「국어 기본 시행령」 |
15. 줄표(―) |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에 사용 | 환경 보호 ― 숲 가꾸기 ― |
16. 붙임표(-) | 차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 쓴다. |
김 과장은 기획-실무-홍까지 직접 발로 뛰었다. |
17. 물결표(∼) |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낼 때 쓴다. | 9월 15일~9월 16일, 3~79쪽 |
18. 드러냄표(˙)와 밑줄( ) |
문장 부호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 중요한 부분을 드러냄. 드러냄표 대신 작은 따옴표 가능.
|
중요한 것은 ‘왜 사느냐’가 아니라 ‘어떻게 사느냐’이다. |
19. 숨김표(○, ×) |
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임을 나타낼 때 사용
|
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ㅇㅇ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? |
20. 빠짐표(□) |
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 만큼 사용
|
大師爲法主□□賴之大□薦 |
21. 줄임표(⋯⋯⋯⋯) |
할 말을 줄였을 때 사용
|
“어디 나하고 한번⋯⋯⋯⋯” |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노벨 문학상 역대 수상자 목록 | 웹관리자 | 2025.03.21 | 14 |
공지 |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 | 웹관리자 | 2023.02.28 | 84 |
4 |
2024 뉴욕문학
![]() | 관리자 | 2024.10.01 | 104 |
3 |
2023년 뉴욕문학
![]() | 관리자 | 2023.11.05 | 55 |
» | 문장 부호 해설 | 웹관리자 | 2023.02.22 | 112 |
1 | 한국 국립 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 | 웹관리자 | 2023.01.23 | 138 |